본문 바로가기
주식

퀀트투자란? (feat. 영구 포트폴리오) [동산스터디]

by 맛동산이 2022. 6. 27.
반응형

 

퀀트투자란?

한 마디로 설명하자면 퀀트투자란 규칙기반 투자이다. 하지만 그냥 규칙이 아닌 계량화, 수치화가 가능한 규칙을 적용해야 한다. 이 규칙은 누구나 따라 할 수 있도록 레시피 같은 전략이 될 수 있음.

맞는 예) PER가 낮은 기업을 사서 6개월 후에 팔고 다시 PER가 낮은 기업으로 교체하라.
틀린 예) 저점에 매수해서 고점에 매도해라.

하나의 예로는 아래와 같은 영구 포트폴리오를 구성할 수도 있음.

 

영구 포트폴리오

영구 포트폴리오는 자산을 4분할 하여 주식, 채권, 금, 현금으로 나누어 관리할 줄 알아야 함. 주식시장에서 돈이 빠진다는 것은 사람들이 리스크가 높은 것을 피하는 것이기 때문에 금이나 채권 같은 안전자산으로 옮겨가는 모습을 보일 수 있음. (25%, 25%, 25%, 25%로 나누어 관리)

그렇기 때문에, 내 주식계좌가 무너지더라도 금과 채권이 버텨줄 수 있음.

여기서 포인트는, 하나의 시장에만 올인하는 것은 분산투자가 아님. 코스피가 무너지는데 삼성만 살아남는다? 그럴 확률이 매우 낮음. 그렇기 때문에 주식시장이 무너지더라도 뒷받침해 줄 다른 분산이 필요하다.

 

영구 포트폴리오 워킹 방식

하나의 방식일 뿐, 자신만의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면 좋을 것.
예를 들어, ETF로 자산을 구성할 수 있다.

1. 미국 주식: QQQ, SPY 같은 ETF
2. 미국 채권: TLT 같은 ETF
3. 금: GLD
4. 현금은 현금 보유

이런 식으로 구성을 해두고 1년 동안 아무것도 안 한다. 1년 후에는 비중을 조절해 주는 것.
예를 들어, 주식이 많이 올라서 나의 포트폴리오의 25%를 차지하고 있던게 35%가 됐으면 좀 팔거나, 금리가 많이 떨어져서 25%에서 17%로 떨어졌다면 그 돈으로 금 좀 사고 하는 방식이다.  

문제는 이게 간단하지만 사람의 심리라는게 그 안정적 수익률을 견디기 힘들다. 이걸 견뎌내는게 Quant 투자의 중요한 부분.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