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부동산 증여 절세 방법 [동산클리핑]

by 맛동산이 2021. 3. 10.
반응형
요약

정부는 매년 부동산 종류별로 공시가격을 발표한다. 공시가격은 세금 부과의 기준이 되므로 사전 공시된 금액을 확인하여 절세 계획을 세워야 한다.

 

1. 부동산 취득 방법에 따른 세금- 증여세 / 취득세

증여에 의해 무상으로 취득할 경우 증여세와 취득세가 부과된다.

매매에 의해 취득할 경우 취득세가 부과된다.

 

[ 증여세 평가 기준 ] 

- 증여일 전 6개월부터 증여일 후 3개월까지 기간 중 발생한 매매가, 감정가, 유사매매 사례가

- ★공시가격

   :아파트를 제외한 대부분의 부동산(단독주택, 상가, 토지 등)은 공시가격으로 증여세 신고

 

따라서 공시가격 인상이 예상될 경우 새로운 공시지가 발표 전 증여하는 것이 유리하다.

 

[ 취득세 평가 기준 ]

- 매매일 경우: 실지거래가액 기준

주택매매 취득세율은 취득가액에 따라 1~3%로 차등

공시가격 1억원 이하 주택(재개발 등 정비구역 제외)은 취득세 중(重)과세가 적용되지 않아 1% 세율만 적용

단, 다주택자 or 법인이 매매로 취득할 경우 최고 12%까지 취득세 중과세 (20.08.12.이후)

 

- 증여일 경우: 공시가격 기준

시세와 관계없이 주택 공시가격의 3.5% 취득세 과세

단, 조정대상지역에 소재한 공시가격 3억원 이상 주택을 증여받으면 취득세가 12%로 중과세 (20.08.12.이후)

*1세대 1주택자가 본인 소유 주택을 배우자나 직계존비속에게 증여하는 경우는 제외

 

2. 부동산 소유에 따른 세금 - 재산세 / 종합부동산세(종부세)

모든 주택소유자: 공시가격에 따라 7월, 9월 재산세 납부

주택의 공시가격 합계액이 9억원 이상(1세대 1주택 기준): 12월에 종부세 납부

 

재산세와 종부세는 매년 6월 1일, 소유자에게 1년치 세금을 과세한다.

따라서 매도/증여는 6월 1일 이전에, 매입은 6월 2일 이후에 진행하는 것이 유리하다.

 

3. 부동산 판매에 따른 세금 - 양도소득세

양도소득세는 실거래가액을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공시가격에 영향을 받지 않음

 

단 취득 당시의 실거래가액을 확인할 수 없을 경우 환산취득가액으로 계산

환산취득가액 = 양도 시점과 취득 시점의 공시가격 변동률을 기준으로 환산

 

따라서, 공시가격이 인상되기 전에 양도하는 것이 유리하다. 

맛동생각

어렵다. 부동산 취득 방법과 소유 여부에 따라 과세되는 종류도 많고 적용 방법도 제각각이다.

큰 돈을 써야할 날이 오기 전에 개념을 명확히 해둬야겠다. 

 

출처: www.hankyung.com/realestate/article/2021031025901

반응형

댓글